1. 모니터와 인쇄물의 컬러 차이가 발생하는 2가지 이유
1. 컬러차이가 발생하는 상식적인 이유
[모니터]로 [종이와 잉크]를 만들 수 없다.
-모니터는 하나의 조명으로 발광체
- 종이와 잉크는 반사체
2.컬러차이가 발생하는 실무적인 이유
- 장비 성능의 문제
흑백TV vs 컬러TV
데스크톱 vs 스마트폰 vs 태블릿
- 소프트웨어 설정의 문제
하나의 장비에서도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컬러 값이 나올 수 있다.
결론, 컬러 소통의 문제
해결, 표준 컬러 장비사용 & 표준 컬러 설정 사용
2. 내가 사용하는 모니터는 어떤 모니터인가?
컬러 작업에 필요한 모니터 스펙 체크 및 장비 추천
예시)
길이의 표준, 1cm = 1센티미터
회사에 따라 줄자의 1cm가 오차가 발생한다.
>> 장비가 표준에 얼마나 가까운지
컬러의 표준, sRGB 색공간
(커버율을 보아야함, 불륨 값은 의미 없음)
'표준'에 가까울 수록 의미가 있다. 언제나 약간의 오차는 존재한다.
표준 = 소통, 표준이 지켜져야 소통이 가능하다.
캘리브레이션 장비 = '컬러 표준'에 얼마나 비슷한지 체크하는 장비
X-rite사 장비 추천
3. 컬러 매니지먼트(색 관리)의 시작과 끝, ICC 프로파일
- 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
-프로필.icc
-AdobeRGB.icc, sRGB.icc , P3.icc
- 애플은 디바이스가 달라도, 모두 P3 icc를 사용하기 때문에 색관리에 용이하다.
- 소스를 가져올때, 작업물을 내보낼때 총 두 차례 ColorSync가 발생함
4. 컬러 매니지먼트(색 관리)를 위한 운영체제 Mac OS
컬러 싱크 유틸리티 활용
- 색 공간이 넓은 모니터를 사용 할 수록 인쇄하였을때 색의 차이가 더 커진다.
- CMYK에서 푸르색 계열은 더 풍부하고, 붉은 색 계열은 부족하다.
- RGB 값은 장비 종속성 값이다
- CMYK 값은 장비 종속성 값이다
- Lab 값은 가시광선 영역 수치라서 절대값이다, 하지만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힘들다.
- 그래서, RGB,CMYK 값을 사용한다. 때문에 자신의 모니터 성능을 잘 알아야만 한다.
5. 내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컬러 설정이 가능할까 ?
어도비 색 관리 설정
Adobe Bridge 설치
편집 - 컬러세팅 - 싱크로나이즈 - 국내는 보통 japan press2를 사용
용도에 맞는 ICC프로파일 할당 및 변환
ICC컬러 프로파일 할당 = 태그
태그가 없는 경우 = 모두 sRGB 추천
( 포토샵 - 편집 - 프로필 할당 - sRGB )
- 저장할 때 색상 프로필 포함해서 저장하기
용도에 맞는 ICC프로파일 변환
편집 - 프로필 변환 - japan color 2001 coated
6. 소프트 프루핑의 이해와 활용
Soft Proofing
- 모니터 사용, 색 공간 넓을 수록 유리
- 인쇄물 컬러를 모니터로 에측하기, 미리보기, 시뮬레이션
- 보기 - 저해상도 인쇄 설정 - 사용자 정의 - japan color 2001 coated
- 모니터 밝기 = 인쇄물 밝기(조명의 밝기), 보통 모니터 밝기를 내려서 인쇄물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줌
7. 내가 사용하는 LED조명 or 형광등의 성능
컬러 렌더링 인덱스 (CRI), 색 온도
- CRI = Color Rendering index
-CRI, 태양광을 기준으로 100에 가까울 수록 태양광에 가까움
- 색 온도 보통 6500k
컬러 작업에 적합한 조명 스펙 체크 및 추천
- LED 조명
- CRI(Ra) : 90 이상
- 색온도 : 5000k, 6500k
표준 조명 추천
- 오스람 LED T5 바텐 간접조명
- 호루스벤누 VL400T : 영상 촬영용 LED 조명
8. 인쇄시 선택할 수 있는 종이 2가지
Coated paper (도공지)
- 종이 위에 발색을 도우는 성분 코팅
- 아트지, 스노우지, 몽블랑, 아르떼, 랑데뷰
Uncoated paper (비도공지)
- 일반적인 종이
- A4 복사용지, 모조지, 마쉬맬로우, 아레나, 문켄
- Japan Color 2001 기준으로 Coated가 색영역이 더 넓음
- 비도공지의 경우, 사무용지로 코팅해서 미리 보아도 크게 차이 없음
9. 인쇄 감리의 필요성
- 디지털 컬러 관리의 한계
- 인쇄물의 경우 종이의 두께감, 질감, 그림자 등이 같이 표현 됨
- 직접 인쇄소가서 감리를 필수적으로 해야한다.
- 안료 잉크는 번지지 않아서 사무용으로 좋음
- 옵셋은 대량으로 찍어야 유리하다.
- 그래픽 아트용 안료 잉크젯(RGB 프린트)은 다양한 컬러 재현에 유리하다. 해상도도 제일 좋다.
- 상업용 디지털 프레스, 저품종 소량생산에 유리
- 채도가 낮은 경우, 도공지,비도공지 비슷한 결과물이 나온다.
'Design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21, 디자인 회사의 프로세스 (0) | 2022.03.20 |
---|---|
#20, 모바일 디자인 및 디자인 시스템 이해하기 (0) | 2022.03.20 |
#19, 웹 사이트 디자인 이해하기 (0) | 2022.03.20 |
#18, 디스플레이 환경 이해하기 (0) | 2022.03.20 |
#17, 시각화 ( Visualization ) (0) | 2022.03.20 |